본문 바로가기

세무회계/전산회계 1급

[전산회계1급/세무2급] 주식회사의 자본(주식의 발행, 감자, 자기주식)

 

 

 

* 주식의 발행(=증자, 설립발행X)

: 주식을 발행하면 대변에 자본금(액면가액)이 온다.

발행주식 총수 x 1주당 액면가액

증자
- 주식회사나 유한 회사가 사업 확장과 운전 자금의 보충을 위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유상증자 : 자산, 자본의 증가
무상증자 : 자산, 자본의 불변(자본잉여금 사용하면 변화 x)
공통점 : 자본금 증가 ↑

 

- 분개

  차변 대변 수수료 발생시
 액면 발행(평가 발행)
액면가액 = 발행가액
현금 5,000 자본금 5,000(액면가액) 수수료 및 신주발행비용 발생시
발행가액에서 차감 후 발행
      수수료 1,000일 경우
② 할증 발행
발행가액 > 액면가액
현금 7,000 자본금 5,000(액면가액)
주식발행초과금 2,000
(-> 자본잉여금)
(차변) 현금 6,000
(대변) 자본금 5,000
주식발행초과금 1,000
③ 할인 발행
발행가액 < 액면가액
현금 4,000
주식할인발행차금 1,000
(-> 자본조정(자본의 차감적항목)
자본금 5,000(액면가액) (차변) 현금 3,000
주식할인발행차금 2,000
(대변) 자본금 5,000

 주식발행초과금과 주식할인발행차금은 서로 상계(같은 액수만큼 소멸)할 수 있다. (합계잔액시산표에서 조회가능!)

 

 

 

* 사채의 발행(비유동부채)

: 사채를 발행하면 대변에 사채액면가액이 온다.(주식의 발행이랑 비슷)

  차변 대변
 액면 발행(평가 발행)
액면가액 = 발행가액
현금 5,000 사채 5,000(액면가액)
② 할증 발행
발행가액 > 액면가액
현금 7,000 사채 5,000(액면가액)
사채할증발행차금 2,000
(-> 사채의 가산항목)
③ 할인 발행
발행가액 < 액면가액
현금 4,000
사채할인발행차금 1,000
(-> 사채의 차감항목)
사채 5,000(액면가액)

상계 안됨!!!! 사채 발행의 수수료 및 제반비용 발생시, 차감 후 발행

 

 

 

* 주식의 감자(減資)

: 발행한 주식(증자資)매입하여 소각 할 목적

감자
- 주식회사나 유한 회사가 결손을 보전하거나 과대 자본을 시정하기 위하여 법원에 등록되어 있는 자본의 총액을 줄이는 
유상감자 : 주식수 감소, 자본금 감소, 자본 감소
무상감자 : 주식수(or액면가액) 감소, 자본금 감소, 자본 불변
공통점 : 자본금 감소  

 

- 분개

  차변 대변
매입가액 < 액면가액 자본금 5,000(액면가액) 현금 4,000
감자차익 1,000
(-> 자본잉여금)
매입가액 > 액면가액 자본금 5,000(액면가액)
감자차손 2,000
(-> 자본조정)
현금 7,000

★ 감자차익과 감자차손은 상계할 수 있다.

 

 

 

* 자기주식(자본조정)

: 발행한 주식(증자)을 매입하여 보유 할 목적

Why? 추후 재발행 목적 - 배당금 축소, 주주총회 진행전

  차변 대변
① 취득  자기주식 7,000(취득가액) 현금 7,000
② 매각(보유목적 사라짐) 현금 9,000 자기주식 7,000(취득가액)
자기주식처분이익 2,000
(-> 자본잉여금)
  현금 6,000
자기주식처분손실 1,000
(-> 자본조정)
자기주식 7,000

★ 자기주식처분이익과 자기주식처분손실은 상계할 수 있다.

 

 

* 자본잉여금과 자본조정

자본잉여금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자본과
관련된 거래에서 발생된 잉여금)
자본조정(자본의 차감적 항목)
- 주식발행초과금
- 감자차익
- 자기주식처분이익
- 주식할인발행차금
- 감자차손
- 자기주식처분손실

 

 

 

 

 

* 이익 잉여금 처분

: 당기순이익(손익거래에서 발생한 이익)발생시 이익 잉여금 처분 확정하여 처분결의

이익잉여금은 배당(현금,주식배당)과 적립금(법정,임의)으로 처분됨

 

미처분 이익 잉여금 처분 ↓

차변 대변  
이월 이익 잉여금
(= 전기이월 이익잉여금+당기순이익)
이익 준비금
(제1법정 적립금 매결산시 현금배당금 10%, 자본금1/2(한도)까지)
 
미지급 배당금(현금배당, 부채) 주시회사 결의후
(결의안)
미교부 주식 배당금(주식배당,
자본조정-자산의 가산적 항목)
적립금(ex. 사업확장적립금 감채적립금 퇴직급여충당금적립금 등 다 사용 후 남은 금액!)
-> 적립금 잔여금액은 차기이월
(차기이월 미처분 이익 잉여금으로)
 

 

[지급]

  차변 대변
현금 미지급 배당금 현금
배당 미교부 주식배당금 자본금(액면가액)

↓ 수령 후

  차변 대변
현금 현금 배당금수익
배당 분개 X ( 총액 동일 )

- 주식으로 배당 받았을 경우 주식수증가, 총액동일, 단가변화

 

 

 

 

문제로 상계느낌 알아보기 ~.~

 

문제1) 7월 20일 보유 중인 자기주식 12,000주를 처분하였다. 자기주식 12,000주에 대한 장부가액은 12,000,000원이고 12,000주 전부를 11,500,000원에 처분하고 그 대가를 전부 보통예금으로 입금받았다. (단, 자기주식처분이익 계정의 잔액이 300,000원 있고, 처분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차변 대변
보통예금 11,500,000
자기주식처분이익 300,000
자기주식처분손실 200,000
자기주식 12,000,000(장부가액)

총 손실이 500,000인데 이때 자기주식처분이익과 손실은 서로 상계 가능하므로 처분이익 300,000원을 먼저 사용처리(?)하고, 남은 금액 자기주식처분손실로 처리하면 됨!

 

문제2) 9월 1일 1주당 액면금액이 5,000원인 보통주를 주당 6,000원씩 1,000주를 발행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받았다. 주식발행비로 200,000원을 현금 지급하였다. (기존 주식할인발행차금 300,000원이 존재한다.)

차변 대변
현금 5,800,000(대금-주식발행비) 자본금 5,000,000(액면가액)
주식할인발행차금 300,000
주식발행초과금 5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