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직급여 충당 부채(비유동 부채)
: 1년 초과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부채로 설정하는 계정
- 현시점에 전 사원이 모두 퇴사한다면 발생되는 퇴직금
<분개>
차변 | 대변 |
퇴직급여(판관비) | 퇴직급여 충당부채 |
* 퇴직금 지급
<기본분개>
차변 | 대변 |
퇴직급여 | 예수금(퇴직소득세) 보통예금 |
1) 퇴직금 < 퇴직급여 충당부채
차변 | 대변 |
퇴직급여 충당부채 | 예수금(퇴직소득세) 현금 |
2) 퇴직금 > 퇴직급여 충당부채
차변 | 대변 |
퇴직급여 충당부채 퇴직급여 | 예수금(퇴직소득세) 현금 |
★ 퇴직급여 충당부채 잔액이 부족할 경우, 나머지는 퇴직급여로 비용처리
* 퇴직연금
1) 확정 급여형 퇴직연금 (D/B) -> 회사가 관리, 과거에 사용
차변 | 대변 |
퇴직연금 운용자산 xx | 현금 xx |
↓ | |
퇴직연금 운용자산 xx | 이자수익(=퇴직연금운용수익) xx |
2) 확정 기여형 퇴직연금 (D/C) -> 개인이 관리, 현재 많은 회사에서 사용
개인이 관리하기때문에 바로 퇴직급여로 지급!
차변 | 대변 |
퇴직급여 xx | 현금 xx |
* 유동성 장기 부채(유동부채)
- 장기차입금의 상환일이 결산일로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경우, 거래처입력 필수!
2023년 1/1 | 2024년 12/31 | 2025년 4/1 상환 |
현금100 │ 장기차입금(A은행) 100 | 장기차입금(A은행) 100 │ 유동성 장기부채(A은행) 100 |
* 외화 평가 (12/31 결산시)
- 계정과목 -> 외화 환산 이익(영업외수익) / 외화 환산 손실(영업외비용)
ex. 4/1 당사는 미국의 A상사에게 제품 $10,000를 외상으로 수출하다. (1$기준환율 1,000원)
차변 | 대변 |
외상매출금(A상사) 10,000,000 | 제품매출 10,000,000 |
↓ 12/31 결산일, 1$1,100원으로 평가하다.
기준환율이 100원 증가해서 총 외화 1,000,000원 증가!
증가금액만 적음 Why? 이미 기존금액은 회계처리 되어있으므로
외상매출금(A상사) 1,000,000 | 외화 환산이익 1,000,000 |
↓ 위 A상사의 외상매출금을 회수하여 보통예금하다. (1$1,200원)
보통예금 12,000,000 | 외상매출금(A상사) 11,000,000 외환차익 1,000,000 |
4/1 당사는 미국의 A상사에게 제품 $10,000(1$기준환율 1,000원)->10,000,000를 외상으로 수출하였다.
12/31 결산일, 1$900원으로 평가하다. $10,000x900=9,000,000이므로 결산일 기준 1,000,000원 손실남
외환 환산손실 1,000,000 | 외상매출금(A상사) 1,000,000 |
'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 1급] 결산 실기 문제 풀때 팁! 수동결산 -> 자동결산 (0) | 2024.02.16 |
---|---|
[전산회계 1급] 실기 스타투! 케이랩 프로그램 설치해보기 (2) | 2024.02.15 |
[기초회계] 대손의 회계(예상, 발생, 회수, 대손상각비, 대손충당금) (0) | 2024.02.13 |
[기초회계] 고정자산(유형자산+무형자산) 분개문제 (0) | 2024.02.12 |
[기초회계] 무형자산(특징, 유형자산과 차이점) (0)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