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원가계산
: 여러종류의 제품을 주문에 의해 소량 생산할때(ex. 주문 생산하는 제조업, 건설업, 조선업, 항공기 등)
- 제품의 생산활동 시 발생하는 원가를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로 구분하여 작업원가표(개별원가표)에 집계
제조원가 | 제조 지시서별 작업 (제품별X-한개만드는것도 시간 엄청 소요) |
작업원가표 |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 둘이 합쳐서 직접원가 |
직접부과 -----> 승용차, 트럭 등 | 당기제품제조원가(완성품) |
제조간접비 | 배부기준에 의한 배부 | 기말재공품원가(미완성품) |
장점 - 정확한 원가 계산, 손익 분석 가능 / 단점 -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
* 제조간접비 배부 방법
: 두 종류 이상의 제품을 제조할 때,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제조간접비(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간접제조경비)로 각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월말에 전체발생액을 집계하여 배부기준에 의해 각 제품에 배부함
제조간접비 총액 x 각 기준/총 기준 = 배부액 |
① 실제 배부법(=실제개별원가계산) -> 기말에 실제로 배부완료 후 계산가능
1. 가액법(금액)
배부방법 | 실제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직접 재료비법 | 제조간접비 총액 / 직접재료비 총액 | 실제배부율 x 제품별 직접재료비 |
직접 노무비법 | 제조간접비 총액 / 직접노무비 총액 | 실제배부율 x 제품별 직접노무비 |
직접 원가법 | 제조간접비 총액 / 직접원가 총액 | 실제배부율 x 제품별 직접원가 |
2. 시간법
배부방법 | 실제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직접 작업(노동,노무) 시간법 | 제조간접비 총액 / 총직접노동시간 | 실제배부율 x 제품별 직접노동시간 |
기계 작업 시간법 | 제조간접비 총액 / 총기계운전시간 | 실제배부율 x 제품별 기계운전시간 |
실제 배부율 x 실제 작업시간 = 실제 배부액
제조간접비 총액(실제) ÷ 실제 총기준 = 1시간당 임율
② 예정 배부법(=정상개별원가계산) -> 연초에 미리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산정
제조간접비 예정 배부율 = 예정제조간접비 총액 / 예정배부기준의 총계 | |
제조간접비 예정 배부액 = 예정배부율 x 제품별 실제배부기준 |
예정 배부율 x 실제 작업시간 = 예정 배부액
제조간접비 연간(예정) ÷ 예정 총시간 = 1시간당 임율
- 제조간접비의 배부차이
: 예정배부율을 이용하여 제조간접비 계산하나 이후 실제발생액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조정 필요함
ex. 1/1 예정 제조간접비 1,000,000 -> 12/31 실제 제조간접비 1,200,000
=> 제조간접비가 200,000원 과소 배부된 것
과대 : 예정 > 실제 과소 : 예정 < 실제 |
* 간단정리
1. 정상원가 계산 :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실제) / 제조 간접비 (예정)
2. 실제원가 계산 :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제조 간접비(실제)
장점 : 정확함 / 단점 : 제조가 완료된 후 계산가능 -> 지연
3. 표준원가 계산 :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제조 간접비(예정)
장점 : 빠르게 계산가능 / 단점 : 오차 범위 발생 -> 정확도가 떨어짐
예제문제)
1. (주)한국은 제조간접원가를 직접노무시간 기준으로 배부하고 있으며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은 시간당 2,000원이다. 제조간접원가 실제 발생액이 18,000,000원이고, 실제 직접노무시간이 10,000시간이 발생한 경우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는 얼마인가? (기출 세무2급 112회)
① 2,000,000원 과대배부 ② 2,000,000원 과소배부 ③ 3,000,000원 과소배부 ④ 배부차이없음
예정배부액 = 배부율 2,000원 x 실제노무시간 10,000 = 20,000,000 <-> 실제발생액 18,000,000원
처음 배부한 것보다 2,000,000원 줄어들었으므로 제조간접비 2,000,000원 과대 배부
2. (주)성진은 직접원가를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한다. 다음 자료에 의하여 계산한 제조지시서 no.1의 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얼마인가? (기출 회계1급 109회)
공장전체 발생원가 | 제조지시서 no.1 |
총생산수량 : 10,000개 기계시간 : 24시간 직접재료원가 : 800,000원 직접노무원가 : 200,000원 제조간접원가 : 500,000원 |
총생산수량 : 5,200개 기계시간 : 15시간 직접재료원가 : 400,000원 직접노무원가 : 150,000원 제조간접원가 : (?)원 |
제조간접비 총액 x 각 기준/총 기준 = 배부액
제조간접원가 배부액 = 500,000 x (제조지시서 직접원가 400,000+150,000) / (전체 발생원가 800,000+200,000)
= 275,000원
* 종합원가계산
: 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하는 제조업(ex. 방직업, 정유업, 식품가공업, 제분업 등)
원가계산기간별로 원가를 집계하며 일정한 원가계산기간 동안에 발생한 총제조원가를 동 기간 중에 만들어진 완성품 환산량으로 나누어 제품의 단위당 원가를 계산하게 되는 것
제조원가 | 종합원가 |
직접 재료비 ------------> | 재료비 - 제조 착수시(시작하자마자) 전부 투입 or 제조진행(%)에 따라 투입 |
직접 노무비 --------------------> 제조 간접비 --------------------> |
가공비 - 제조 진행시 균등(% 완성도) 소비 |
- 완성품환산량(종합원가계산에서의 원가 배부기준이 됨)
: 일정기간에 투입한 원가를 그 기간에 완성품만을 생산하는데 투입했더라면 완성되었을 완성품수량으로 나타낸 수치
1단계 : (당기)완성품 수량 + 기말 재공품 수량 = 완성품 환산량
@ 기말 재공품 수량 포함해주는 이유 -> 재공품 T계정 보면 완성품에만 당기총제조원가가 들어간것이 아니기때문에 합산해줌
2단계 : (기초 재공품 원가 + 제조원가=당기투입원가) ÷ 완성품 환산량 =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
3단계 : 기말 재공품 수량 x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 = 기말 재공품 원가
① 평균법
: 당월에 완성된 제품은 그것이 월초재공품에서 완성된 것이든, 당월 착수분에서 완성된 것이든 구분 없이 당월에 완성된것으로 보는 방법
(기초재공품 원가 + 당기투입원가) / 완성+기말(완성품환산량) 나온값에서 x기말재공품 해주면 기말 재공품 원가 |
② 선입선출법
: 월초재공품을 우선적으로 가공하여 완성시키고, 당월 착수분을 완성시키는 방법으로 기말재공품을 당월 착수분으로만 이루어지는 방법
당기투입원가 / 완성-기초(전기꺼로 보기때문에)+기말 나온값에서 x기말재공품 해주면 기말 재공품 원가 |
=> 평균법보다 선입선출법이 더 우월한(정확한) 방법이며, 둘의 차이는 기초의 차이이다.
예제문제)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법에 따른 종합원가계산을 적용할 경우, 가공원가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얼마인가?
(세무2급 111회)
직접재료는 공정 개시 시점에 모두 투입하며, 가공원가는 공정 진행에 따라 균등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2500개(완성도 30%), 당기투입량 30,000개, 기말재공품 4,000개(완성도 30%) 기초재공품원가 : 직접재료원가 200,000원, 가공원가 30,000원 당기제조원가 : 직접재료원가 2,400,000원, 가공원가 1,306,500원 |
- 평균법 = 기초재공품원가 + 당기제조원가 / 완성품수량 + 기말재공품 수량
- 완성품 수량 안나오면 직접 구해야함(기초재공품+당기투입량-기말재공품=완성품수량 28500개)
- 평균법에 대입하면 되는데, 가공원가는 공정 진행에 따라 균등하게 발생하므로 기말재공품의 완성도 반영해줘야함
30,000원+1,306,500원 / 28500+1200(기말재공품4000x0.3) = 45원 <- 가공원가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
* 종합 원가 계산의 종류
1. 단일(단순) 종합원가계산
- 단일공정을 통하여 단일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 ex. 얼음, 벽돌
2.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 두개이상의 공정을 통하여 동일종류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대량생산 ex. 제지(紙)업, 제당업
3. 반별(조별) 종합원가계산
- 이종제품을 대량생산, 제품의 종류마다 조를 설정 ex. 자동차, 통조림제조업
< ↓결합원가↓ >
4. 등급별 종합원가계산
- 동일재료 / 동일공정, 동일종류의 제품생산 - 규격,모양,무게,품질 등이 다른 제품 생산 ex. 정유업, 제화업(신발)
5. 연산품 종합원가 계산
- 동일재료 / 동일공정,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제품 생산
연산품(주산물+부산물) ex. 도축업(주산물 : 소고기 / 부산물 : 가죽)
비교 | 종합원가계산(=소품종 대량생산) | 개별원가계산(=다품종 소량생산) |
정확성 | 정확성이 떨어짐 | 정확한 계산가능 |
계산의 비용 | 덜 복잡하여 비용이 적게 발생 | 상세한 기록이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발생 |
계산방법 | 공정별, 기간별 원가계산 -> 완성품 환산량 계산이 중요 |
제조지시서별 원가계산 -> 제조간접비의 배부가 중요 |
공손품
: 불량품(재료불량, 기계불량 등으로 가공 실패한 불합격품)
- 공손될 물량에 이미 투입된 원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정상적 : 매출원가 포함 / 비정상적 : 영업외 비용 처리
≠ 작업 폐물 : 쓰레기
'세무회계 > 전산세무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회계② - 부문별 원가 계산(직접배부법, 단계배부법, 상호배부법) (0) | 2024.03.29 |
---|---|
회계/세무2급 - 원가회계 기초 (원가 용어, 원가의 분류, 원가의 구성도) (0) | 2024.03.28 |
소득세⑤ 종합소득 물적공제(특별 세액 공제) (0) | 2024.03.26 |
소득세④ 종합소득 인적공제 (부양가족 범위, 부양가족 공제) / 자녀·출산 세액공제 (0) | 2024.03.24 |
[세무기초] 소득세③ 근로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0) | 2024.03.23 |